Category Archives: 착한경영의 세 꼭지

조직문화 사례: Netflix

조직문화의 중요성을 세간에 알린 가장 중요한 사건은 아마도 넷플릭스의 Culture Deck의 공개일 것입니다. 이를  20세기 실리콘밸리의 가장 놀라운 사건이라고 할만큼 충격 그 자체었습니다. 자기만의 경영철학과 기법을 공개하는 일도 드믈거니와 넷플릭스가 구축한 조직문화가 너무도 신선했기 때문일 것입니다.   넷플릭스의 CEO인 Reed Hastings와 함께 14년에 걸쳐 새로운 조직문화를 구축을 주도했던 CTO (Chief Talent Officer) Patty McCord가 저술한 책… Read More »

조직문화 사례: 토스

우리 나라에서도 꽤 중요해보이는 실험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새로운 조직문화를 추구하고 있는 스타트업 비바리퍼블리카입니다. 토스의 새로운 조직문화 구축과 진행 현황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주로 토스 공식블에 올려져 있는 내용과 미디어에 게재된 기사들을 참고했습니다. https://www.gempri.org/wp-content/uploads/2019/11/비바리퍼블리카토스-조직문화.pdf

<착한경영>의 리더십 정의

‘그 사람은 권위적인 리더십을 가지고 있다’라는 식으로 이야기하는 것을 가끔 듣는다. 그럴 때마다 우리 사회가 리더와 리더십의 개념에 대해 무언가 잘못 생각하고 있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사람은 어떤 개념에 대해 스스로 정의 내린 것 이상으로 생각하거나 행동하지 못한다. 때문에 리더와 리더십의 개념에 대해 잘못된 정의를 내리고 있는 사람이나 집단이라면 그로부터 올바른 리더십을 기대하기란… Read More »

리더십 관련 추천도서

<착한경영>에서 추천하는 리더십 관련 도서 목록입니다. 리더와 리더십 (Leaders, 1985) – Warren Bennis, Burt Nanus) 리더십 불변의 법칙 (The 21 Irrefutable Laws of Leadership, 1998) – John C. Maxwell (갈무리 자료:https://www.gempri.org/?p=1598) 손자병법 (孫子兵法, BC500) – 손무(孫武) 군주론(1513) – Niccolo Machiavelli 감성의 리더십 (The Primal Leadership, 2002) – Daniel Goleman 역사를 바꾸는 리더십 (Transforming Leadership: A… Read More »

동기(動機)란 무엇인가

동기 이론( Motivation Theory)에 대해 본격적으로 공부하기 동기 이론을 이해하기 위해 필요한 몇  가지 개념과 동기 이론 발전의 역사를 개괄해 보는 일종의 프롤로그입니다.  첨부한 PPT자료는 아래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동기 (Motive) 동기부여 (Motivation) 동기와 성과와의 관계 동기 이론의 역사적 갈래들 아래 첨부를 클릭하시면 해당 파일을 다운 받을 수 있습니다. 첨부: 동기란 무엇인가

던바의 수 Dunber’s Number

옥스포드 대 인류학자이자 진화생물학자인 Robin Dunber 교수가 1992년 Journal of Human Evolution에 기고한 논문에서 영장류 집단의 규모를 결정하는 것은 신피질의 크기라고 주장한 사회적 뇌 가설 (Social Brain Hypothesis)입니다. 그는 38종의 영장류를 연구하여 신피질의 크기와 집단의 규모가 정의 상관관계가 있음을 밝혔고 이런 기준으로 보면 석기시대 인류는 약 150명의 집단을 이루고 살았을 것으로 추정하였습니다. 이 가설이 함의하는… Read More »

피터의 원리 Peter’s Principle

조직에서 목표를 진급에 두는 모든 구성원들은 결국 무능한 상태에 도달하여 직장을 그만두게 된다는 Lawrence J. Peter교수의 주장 (1969년) 요약 자료 : Peter’s Principle  

파킨슨의 법칙 Parkinson’s Law

영국의 행정학자 파킨슨(Cyril Northcote Parkinson)이 1957년에 주창한 법칙으로 공무원의 수는 업무량과는 직접적인 관계 없이 심리적 요인에 의하여 꾸준히 증가한다는 이론이다. (출처: 나무위키) 영국 해군에서 근무하던 파킨슨은 1914년 부터 1928년 의 기간 즉, 1차 세계대전 후 영국해군의 함정은 67%, 장병 수는 31.5% 감소했으나, 해군행정인력은 오히려 78% 나 증가했음을 발견했다. 조직의 크기나 업무량이 줄어듬에 반하여 행정인력은 매년… Read More »